정부, 강제징용 해법 묘안 '막판 고심'…한일 민간재원에 무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일관계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의 묘안을 찾기 위해 정부는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양국 민간 재원으로 배상하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지만 재원 조성 방식과 일본 측의 사과 여부가 쟁점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장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추석 연휴 직전에 열린 마지막 민관협의회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배상금에 한국 정부 예산이 들어가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공감대를 이뤄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민간의 자금이 들어가는 '공동 기금안' 채택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2014년 설립된 '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' 등을 활용하되, 일본 정부나 기업도 배상 주체로 참여시키는 방안이 유력히 거론됩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재원 조성 방식입니다.<br /><br />일본 피고 기업이 기금을 출연할 지, 참여한다면 어떤 명분으로 재원을 낼 지가 한일 간 교섭의 쟁점으로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일본 측의 진정 어린 사과를 이끌어낼 지 여부도 관건입니다.<br /><br /> "일본의 사과와 관련해서 (민관협의회) 참석자들은 피해자들이 가장 원하는 요소 중 하나이므로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 대해 논의를 했습니다."<br /><br />다가오는 엘리자베스 여왕 장례식과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,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강제징용 문제의 구체적 해법을 논의하기에는 적절한 계기가 아니고, 정상 간 직접 논의할 의제도 아니란 평가도 뒤따릅니다.<br /><br />현재 일본 매체들이 한국 정부가 다음달 중 일본 측에 정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보도하는 것에 대해, 외교부는 "특정 시한을 정해놓지 않았다"고 밝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대법원이 일본 기업의 한국 자산을 현금화하는 문제에 대한 최종 판결을 미뤄놓는 단계에서, 정부가 묘안을 찾아야 하는 '외교적 시간'은 얼마 남지 않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#강제징용문제 #외교부 #한일관계 #민관협의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