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왕위를 물려받은 찰스 3세가 어머니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어떤 유산을 얼마나 물려받게 될지에도 관심이 모입니다. <br> <br>상속세는 내지 않는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이다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즉위식 때 썼던 왕관에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다이아몬드, 컬리넌 조각과 함께 2만3천 개 보석으로 장식돼 있습니다. <br> <br>3106캐럿짜리 컬리넌은 100여 개로 쪼개졌는데 왕실 소유 9개 중 2개를 뺀 나머지는 여왕의 개인 소유입니다. <br> <br>3번과 4번으로 만든 브로치는 여왕이 공식석상에서 애용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리디아 슬레이터 / 하퍼스 바자 에디터] <br>"여왕은 수많은 브로치 콜렉션을 보유하고 있는데 착용만으로도 개별적인 의미를 더하기도 합니다." <br> <br>버킹엄이나 켄싱턴 같은 화려한 궁전들도 대표적인 왕실 소유 자산입니다. <br><br>미국 경제지 CNBC는 지난해 기준 왕실의 자산 가치가 우리돈 39조 원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이 가운데 27조원을 왕실 재산 운영재단인 크라운 에스테이트가 관리하고 있는데,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의 15~25%만 왕실에 돌아가고 나머지는 국고로 귀속됩니다. <br> <br>찰스 3세가 왕위를 이어받았더라도 왕실 자산을 마음대로 매각하거나 경매에 부칠 수 없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모친인 엘리자베스 여왕이 직접 모은 재산은 상속받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엘리자베스 여왕은 재임 당시 예술품 투자와 부동산 구매 등을 통해 7천억 원을 축적했는데, 여기에는 2002년 여왕 모후 서거 때 상속받은 모네 그림과 보석류 등 968억 원 상당의 자산도 포함돼 있습니다.<br> <br>통상 영국의 명목 상속세율이 40%인 만큼 우리돈 2766억원 상당을 세금으로 내야하지만, "군주에서 군주로의 상속"에는 세금을 면제하기로 한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찰스 3세도 상속세를 면제받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