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산 정상화 난항…조선·자동차·건설 피해 확산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포스코 포항제철소 내 고로는 살려냈지만, 철강 제품 생산 정상화까진 아직 기약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철강산업 역사상 전례 없는 피해로 이 곳에서 철강재를 납품받는 조선, 자동차, 건설업까지 피해 확산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지 일주일이 넘었지만 포스코 포항제철소 공장 내부 곳곳은 진흙탕입니다.<br /><br />추석 연휴마저 반납하고 진행된 복구 작업으로 고로의 불씨는 모두 살려냈지만, 뿜어낸 쇳물을 처리할 후속 공정 정상화는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.<br /><br />반제품인 슬라브는 생산이 재개됐지만 이를 가열해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열연 2공장의 경우 정상화에 최대 6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조선과 자동차, 기계, 건설까지 철강 제품을 납품받는 산업계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사태가 장기화하면 모처럼 수주 호황을 맞은 조선용 후판은 물론, 자동차용 강판, 건설과 기계용 철강까지 물량 부족 문제가 커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만 공급하고 있는 철강 제품 세 종류 가운데, 전기강판은 가전제품에 쓰이는 고부가가치 제품입니다.<br /><br />매출 손실도 하루 500억원씩 늘어나 최대 수천억원대에 이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긴급 태스크포스를 가동해 산업계 철강 공급 안정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수급상황·수출입 영향 등을 상시 점검하며 필요시 선제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. 금주 중 민관 합동 철강수급조사단을 구성할 예정이며 수급상황에 적기 대응하도록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포스코도 반제품 슬라브를 광양제철소로 옮겨 가공하거나 광양제철소 설비를 포항제철소로 가져오는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산업계 전반의 생산 차질과 철강재 가격 상승으로 불똥이 튈 수 있어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포스코 #생산중단 #철강재 #포항제철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