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런데 여왕의 장례식의 과도한 의전 제한 방침이 논란입니다. <br> 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우리 대통령 등 주요국 정상들도 단체 버스를 타야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염정원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자세한 일정까지 확정되진 않았지만,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할 것입니다." <br> <br>닷새 뒤 열리는 엘리자베스2세 여왕의 장례식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을 포함해 독일 프랑스 등 주요국 정상들이 잇달아 참석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정상급 참석 인원만 500명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영국 정부가 나라별 장례식 초청장을 단 2장으로 제한한 게 이 정도입니다. <br> <br>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초대 명단에서 제외됐고, 나루히토 일왕 부부의 참석으로 기시다 총리도 갈 수 없게 됐습니다. <br> <br>[마쓰노 히로카즈 / 일본 관방장관] <br>"(여러 요소를 감안해) 나루히토 일왕이 참석하는 것으로 말씀 렸으며, 기시다 총리 등 그 밖의 참석자는 없습니다." <br> <br> 전쟁 범죄국으로 낙인 찍힌 러시아, 벨라루스, 미얀마는 아예 초청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. <br><br>전용기가 아닌 민용기를 이용하고 장례식장까지 버스를 이용해달라는 의전 방침은 논란이 됐습니다.<br><br>경호·의전 문제로 불만이 제기되자 영국 총리실은 단순 지침일 뿐이라며 번복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<br> <br>왕위를 물려받은 찰스 3세 국왕의 자질 논란도 다시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즉위 선언문 서명 당시 화를 내던 모습에 이어 어제는 힐스버러성 방명록 서명 도중 손에 묻은 잉크 때문에 짜증내는 모습이 그대로 노출된 겁니다. <br> <br>[찰스 3세 / 영국 국왕] <br>"오, 난 이게 싫어… 이런 빌어먹을 것은 못 참겠어. 허구한 날.” <br> <br>또 왕위에 오르자마자 수십 년에 걸친 왕세자 시절 동안 머물던 클래런스 하우스의 직원 100여 명을 집단 해고해 논란을 자초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