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자잿값 급등에 불가피?…가격 인상 뒤 실적 '쑥쑥'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추석 연휴 이후 식품 기업들의 먹거리 가격 추가 인상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원재룟값 급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기업들 입장인데요.<br /><br />같은 이유로 먼저 인상한 뒤 실적을 보면, 인상률이 과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초부터 이어진 식품 업체들의 가격 인상 행렬.<br /><br />기업들은 곡물 등 원재룟값 급등 부담으로 적자 우려가 있다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햇반, 캔햄, 장류 등의 가격을 줄줄이 올린 CJ제일제당의 2분기 식품부문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9.1%나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가격 인상 효과 덕에 하이트진로의 2분기 영업이익은 62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6.5% 늘었고, SPC삼립은 전년 대비 61.5%나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삼양식품 역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2분기보다 92%나 늘었는데, 그럼에도 하반기 라면 가격 인상을 저울질 중입니다.<br /><br />업체들은 해외영업 효과를 강조하지만, 이 정도 실적이면, 이전 가격 인상이 적절한 수준이었는지, 추가 인상이 타당한지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사실상 비용 상승을 크게 상회하며 실적 증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이는 사례들이 종종 있습니다. 소비자로서 이 수치들을 볼 때 과연 기업들의 가격 인상 설명을 합리적이라 판단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이 와중에 추석 연휴가 끝나자마자 농심, 오리온이 라면, 스낵, 과자류 가격 인상을 단행했고, 팔도까지 라면값 인상 대열에 합류한 상황.<br /><br />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재개로 국제 곡물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고 국제 유가와 운반비도 떨어지고 있지만,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계속될 전망이어서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라면 #햇반 #초코파이 #가격인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