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태양광을 장려했던 지난 정부, 원전은 또 줄이려고 했죠. <br> <br>원전을 담당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월성 1호기 조기폐쇄로 7200여억 원을 손해봤다며 정부에 보전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고스란히 국민이 메워줘야 할 판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(지난 2017년)] <br>"월성 1호기는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하여 가급적 빨리 폐쇄하겠습니다.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 가동을 연장하는 것은 선박 운항 선령을 연장한 세월호와 같습니다."<br> <br>당초 올해 11월까지 가동 예정이었던 월성 원전 1호기는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지난 2019년 12월 가동을 중단했습니다. <br> <br>한국수력원자력은 예정보다 3년 먼저 가동을 멈추면서 총 7천277억여 원의 손실을 입게 됐다며 지난 6월 이 비용을 정부에 보전해 달라고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올해까지 가동될 것을 고려해 투자한 설비투자, 물품구매, 유지 비용 등을 더한 금액입니다.<br><br>산업부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보존 비용은 국민이 매달 내는 전기요금 중 3.7%를 떼 적립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지출될 예정입니다.<br> <br>한수원은 신규 추진되다 백지화된 삼척과 영덕 원전의 비용 보전도 추가로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다음 달 전기 요금 인상이 예정된 가운데 기금 축소로 인한 국민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태희 <br>자료제공: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