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은행직원들로 구성된 금융노조가 임금인상과 주 36시간 근무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나섰습니다.<br> <br> 출근시간에 광화문 큰길을 점령하고 집회를 열었는데 평균 연봉 1억이 넘는 은행원들의 요구에 시민들의 시선이 따가웠습니다.<br> <br>안보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광화문 사거리.<br> <br>시청역 방향 5차선 도로가 막혀 있습니다. <br> <br>금융노조가 총파업 집회를 열면서 도로가 폐쇄된 겁니다. <br> <br>교통 정체로 출근길 시민들은 발만 동동 구릅니다. <br> <br>[시민] <br>"왜 출근 시간에 시위들을 하냐고. 우리네들도 생각 좀 해줘야지." <br> <br>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오늘 파업에 참여한 사람은 9800여 명. <br> <br>지방은행을 포함한 17개 은행의 파업 참여율은 9.4% 수준이었고,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 5대 은행의 파업 참여율은 0.8%에 그쳤습니다.<br> <br>하지만 거리로 나온 금융노조는 임금 5.2% 인상과 함께, 임금 삭감 없는 주 36시간 근무 도입 등을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일한 만큼 보상하라. 혁신안 폐지하라. 산업은행 이전 철회하라." <br> <br>코로나19 유행 당시 은행점포 영업시간을 줄인 뒤 지금까지 원상회복하지 않는 상황에서 아예 근무시간 단축을 요구하고 나선 겁니다. <br> <br>지난해 기준 4대 은행의 직원 평균 연봉은 1억 550만 원. <br> <br>돈은 그대로 받으면서 짧게 일하고 싶다는 요구에 대해 시민들은 선뜻 공감하지 못합니다. <br> <br>[김복년 / 서울 동대문구] <br>"우리 일반 서민들이 '나는 연봉 1억 원 이상만 되고 싶다' 꿈으로 갖고 있잖아요. 화이트 칼라로 다 누리고 있으면서 뭘 더 원하는 거냐고요." <br> <br>저조한 파업 참여율로 은행 창구 혼란은 없었지만 노조가 거리로 나온 명분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임채언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