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전기차에 불이 붙으면 왠만한 산불을 진압하는 것만큼 많은 물을 오랜 시간 퍼부어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소방관들은 그럼.<br /><br />어떻게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고 있을까요.<br /><br />재연 실험으로 확인해 보시죠.<br /><br />홍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화염에 휩싸인 전기차.<br /><br />수만 톤 물을 뿌려도 차량 내부 온도는 1000도까지 치솟았고, 진화에는 7시간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한 대 불을 완전히 끄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물의 양은 왠만한 산불과 맞먹습니다.<br /><br />배터리 열 폭주 때문.<br /><br />배터리가 손상되면 순식간에 수백 도까지 치솟으며 열이 계속 끓어 오르는데<br /><br />재발화와 감전 위험에 열이 식을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.<br /><br />[김영진 / 경북소방본부 소방관]<br />"최근 얼마 전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일주일 뒤에 폐차장에서 재발화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."<br /><br />전기차 화재 상황을 재연해봤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밑부분에 불쏘시개로 불을 붙이자 차량이 순식간에 검은 연기와 시뻘건 불길을 내뿜습니다.<br /><br />통상 소방차가 도착하는 시간을 감안해 화재 발생 7분이 지난 후 소방관들이 진압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아이스볼을 차량 밑으로 던져놓고, 질식소화포를 덮은 뒤 위에는 연신 물을 뿌립니다.<br /><br />차량 온도를 낮춰 배터리의 열폭주를 막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[채해승 / 경북소방학교 소방관]<br />"완벽한 화재 진압보다는 초기에 안에 있는 요구조자를 구출하기 위해서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. 90도까지는 떨어졌고요."<br /><br />더 효과적인 건 수조에 아예 집어 넣는 것.<br /><br />높이 조절형 수조가 전기차 충전소가 많은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됐습니다.<br /><br />상반기 기준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29만 8천여 대.<br /><br />올 연말이면 45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친환경차 보급 못지 않게 화재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합니다.<br /><br />채널A 뉴스 홍진우입니다.<br /><br />영상취재 : 김건영<br /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영상출처 : 경북소방본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