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경공격기 FA-50과 K9 자주포, K2 전차 등 국산 무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민간의 첨단 기술이 접목된 국산 무기를 수출 경쟁력 강화 전략의 첨병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육군 특전사의 특수 작전 수행용으로 개발 중인 다기능 헬기 LUH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[공연종 / KAI 회전익사업1팀 : 특수작전부대를 옆에 태워서 신속하게 도심지나 혼잡한 전장 상황 속에서 인원 수송을 목표로 저희가 파생형을 개발한 기체입니다.] <br /> <br />KAI는 폭격과 정찰을 수행하는 드론이 포함된 유·무인 복합 체계를 탑재한 LUH와 소형 무장헬기의 수출을 동남아와 중남미에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드론을 잡는 기술도 중동 수출을 정조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장비는 총기처럼 보이지만 총기가 아니라 드론을 제압할 때 쓰는 안티 드론 건입니다. <br /> <br />500m 거리에 있는 드론을 제압할 수 있는데 방위사업청과 경찰청, 한수원에 납품돼서 운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72억 달러 수출을 달성한 방위 산업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연간 200억 달러 수출을 목표로 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의 풍부한 운용 경험과 3D 프린터 등 민간의 첨단 기술이 접목되면서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는 게 강점. <br /> <br />[김균섭 / 휴니드테크놀러지스 AW팀장 : (3D 프린팅으로) 국내 육해공군에 들어가는 부품에도 상당히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K9 자주포 수출 호조와 함께 VR,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K9 시뮬레이터도 이집트 등에 수출을 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영빈 / 방위사업청 국방기술보호국장 : AI와 자율주행, 드론 분야에 대해서 특별히 저희가 더 주력해서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수출을 더 확대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범부처 차원에서 미국 등 핵심 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성능 개량을 확대해 방산을 수출 전선의 첨병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1808405998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