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전기차 화재를 둘러싼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에 불이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고, 2차 발화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은 탓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소방은 '소화포'를 이용하는 대안을 찾았고, 도로공사는 충전소에 수조를 만드는 묘안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윤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기차에서 시뻘건 화염이 치솟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관이 하얀색 소화포를 들고 천천히 차를 덮습니다. <br /> <br />불길이 조금씩 잦아들더니 금세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소화포위로 다시 물까지 뿌려 열을 식힙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에 불이 나면 물만 뿌려서 끄기에는 한계가 있어 소화포를 활용해 진화하는 실험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채해승 / 경북소방학교 교육훈련과 : 72시간까지 계속해서 물을 뿌려야 해서 물의 양이 상당히 방대합니다. 그래서 지금처럼 최소의 수원(물)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거를 연구하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전기차 화재의 더 큰 문제는 배터리 열 폭주로 인한 재발화, 다시 말해 과열된 배터리에서 다시 불이 붙는 사례가 잦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영진 / 경북 경주소방서 현장대응단 : 일주일 뒤에 폐차장에서 재발화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수조에 담가놨을 때 재발화를 방비하는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차를 아예 수조에 담가서 불을 끄는 방법이 현장에서 종종 활용됩니다. <br /> <br />도로공사는 이에 착안해 고속도로 휴게소 전기차 충전소에 화재 진압 시설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나면 바닥에 설치된 튜브가 올라와 물을 가두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수조 형태로 만들어진 화재 진압시설은 바닥에서 60cm 높이로 전기차 배터리가 물에 잠기도록 해 2차 발화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화재의 절반 정도는 충전 중에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 충전소에 진화 시설을 갖췄습니다. <br /> <br />[채수창 / 한국도로공사 차장 : 충전 중에도 화재 발생이 굉장히 많다는 그런 기사도 있고 사례도 보다 보니까 휴게소에도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개발 설치하게 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불이 나는 사례도 점차 많아졌고, 올해는 벌써 44건이나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다양한 방법이 연구 개발되면서 피해도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92006001147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