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대면' 유엔총회 화두는 우크라 사태…마스크 실랑이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3년 만에 정상 개최된 유엔총회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의 모습을 많이 되찾았지만, 일부 제한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대면 연설에 나선 각국 정상들은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언급에 상당 시간을 할애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외교의 슈퍼볼'로도 불리는 유엔 총회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3년 만에 정상 개최됐습니다.<br /><br />화상이 아닌 대면으로 연설에 나선 각국 정상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는 데 상당 시간을 할애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의 세계는 위험에 처해있고 마비돼 있습니다. 지정학적 분열은 안보리의 임무와 국제법을 훼손하며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를 훼손합니다. 이대로 계속 갈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제국주의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며 신제국주의에 공모하는 이들이 보여주는 냉소는 세계 질서를 파괴하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 "2월 24일 이후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제국주의와 식민지 시대로의 회귀입니다. 프랑스는 이를 거부합니다."<br /><br />한편 이번 오프라인 회의는 많은 부분에서 코로나 이전의 모습을 대체로 회복했지만, 방역 제한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사무총장이 각국 정상을 초청해 주최하는 오찬 행사가 보건 문제로 올해도 열리지 않았고 유엔본부에 입장할 수 있는 각국 대표단도 10명으로, 총회장에 입장할 수 있는 대표단은 6명으로 제한됐습니다.<br /><br />유엔본부 안팎에서 통상 수십 건씩 열리던 다양한 외교 부대행사도 올해는 한 자릿수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재확산을 우려해 실내에선 마스크 착용 의무화 규정을 뒀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일부 마스크를 착용한 참석자도 있었지만 이미 '노 마스크'에 익숙해진 대표단 대부분은 방청석에서 맨 얼굴로 각국 정상의 연설을 청취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즈는 회의 시작 전 아예 처음부터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유엔본부 빌딩에 들어서는 각국 대표단과 유엔 보안 요원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유엔총회 #유엔 #코로나19 #우크라이나_전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