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2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2년 9월 21일 (수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설주완 더불어민주당 법률지원단 변호사,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, 이승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,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이도운 위원님. 여기에 야권 인사들도, 아니죠. 정확히 이야기하면 여권 인사들도 가만히 있지 않았어요. 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인 김연주 전 대변인이 그러면 문재인 전 대통령 중국 국빈 방문 때 10끼 가운데 8끼를 혼자 먹은 거 아니냐. 그리고 4년 전 아시아유럽정상회의 때는 혼자만 사진 안 찍힌 것. 이게 진정한 외교 참사 아니냐. 뭐 이렇게까지 반격에 나섰던 데요?<br><br>[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김연주 전 대변인이 이야기한 건 홀대 정도 되는 것 같고, 외교 참사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것 같으니까 제가 민주당에게 외교 참사는 어떤 것인가를 조금 몇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. 2001년에 대한민국 대통령, 김대중 대통령이 워싱턴에 가서 조지 부시 대통령을 만났는데 부시 대통령이 우리 대통령한테 ‘this man’이라고 했어요. 이 사람. 그런 게 이제 외교 참사죠? 2006년에 노무현 대통령이 샌프란시스코 가서 ‘북한 핵 개발에 일리가 있다.’ 이런 이야기를 했어요. 그게 외교 참사죠? 그 이후에 부시 행정부는 사실상 노무현 정부하고는 외교적 협력이 어렵겠구나. 이미 판단을 내렸습니다.<br><br>2017년에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중국에 가서 중국은 높은 산봉우리고 한국은 작은 나라다. 중국의 꿈을 함께 하겠다. 이런 시대착오적인 이야기를 했습니다. 이런 게 외교 참사죠. 문재인 전 대통령은 또 한 번의 외교 참사가 있었죠. 유럽 가서 만나는 정상들마다 북한 제재 해제해 달라. 보다보다 못한 마크롱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한테 한 마디 했죠. 지금은 북한 제재에 전 세계가 단일 대우할 때다. 그리고 이후에 아베 총리 만나서 북한 제재 더 강화하자. 이런 이야기까지 했습니다. 이게 다 외교 참사고, 이게 다 민주당 정권에서 일어난 일입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희진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