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기업부터 구청까지…개인정보 유출 먹고 자란 스토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신당역 스토킹 살인 사건은 피해자를 보호해야 할 소속 회사에서 정보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한 탓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과거 스토킹 범죄 사례를 봐도 개인정보가 집중된 기관들에서 정보 관리를 허술하게 해 흉악 범행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주환이 피해자의 개인 정보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스토킹 혐의로 재판을 받는 피고인 신분인데도 회사는 피해자의 정보를 차단하지 않아 피해자의 현재 근무지를 그대로 노출한 겁니다.<br /><br />전 씨가 피해자의 집 주소를 파악한 것도 회사 내부망을 통해서였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개인정보 보호가 허술해 발생한 참극은 이번 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과거 흥신소를 통해 주소지를 빼내 스토킹하던 여성의 가족을 살해한 이석준 사건도 마찬가집니다.<br /><br />흥신소 업자에게 단돈 2만 원에 정보를 넘긴 건 다름 아닌 구청 공무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보건소나 학교 등 개인정보를 다루는 공공기관에서 스토킹 피해자들의 집 주소 등 정보가 새는 일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공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신고 현황은 최근 3년 동안 꾸준히 늘어 지난해엔 21만 건을 돌파했습니다.<br /><br />3년 동안 발생한 건수를 종합하면 54개 기관에서 31만 여 개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 "본인의 업무와 관련이 없는 사람들의 신상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, 무엇보다도 근무자들 개개인이 2차, 3차 피해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제3자의 신상정보를 유출하지 않아야 한다…"<br /><br />허술한 정보 관리로 회복하기 힘든 끔찍한 피해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, 공적 기관의 정보 관리 주체들이 경각심을 갖고 정교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전주환 #스토킹 #개인정보 #정보관리 #신상정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