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동원령 하루 만에 러시아 전역에서 정말로 징집이 시작됐는데요. <br> <br>18살에서 65살 사이 남성들, 전쟁터로 끌려가는 예비군들이 가족들과 눈물을 흘리며 생이별을 했습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체육관 앞에 세워진 징집버스에 남성들이 차례로 탑승합니다. <br> <br> 가장으로 보이는 한 남성은 담담한 표정으로 가족들을 끌어안으며 인사를 나눕니다. <br> <br> 징집 버스에 올라탄 아버지를 마지막으로 보기 위해 창문까지 올려진 어린이는 손을 흔듭니다. <br> <br>결국 울음을 터뜨리는 어린이의 목소리는 애절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아빠, 잘 다녀오세요! 꼭 돌아오세요!" <br> <br> 학생인 아들을 떠나보내는 아버지는 분통을 터뜨리면서도 “조심하라”는 말 밖에는 해줄 말이 없습니다. <br> <br>[징집병의 아버지] <br>“동원령에는 학생은 징집되지 않을 거라고 했어요. 그런데 아무 설명 없이 징집이 됐습니다. 이건 옳지 않아요. / 조심해라.” <br> <br> 지역군인 모집 사무소에 화재가 발생해 경찰이 조사에 나서는 등 동원령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분노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평소 쓰던 우크라이나어 대신 러시아어로 영상 메시지를 올리며 러시아인들의 불만을 키웠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“6개월간 5만5000명의 러시아 군인이 전사했습니다. 더 원하십니까? 아니라고요? 그럼 저항하고 맞서 싸우세요. 도망가세요 아니면 우크라이나에 항복하십시오.” <br><br> 독일 정부는 러시아 탈영병의 망명신청이 가능하다며 러시아를 떠나려는 젊은 남성들을 환영했고 유럽연합도 회원국들의 공동 입장을 도출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