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영수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태현 YTN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와이드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연준이 세 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0.75%포인트씩 올리면서 미국 기준금리 상단이 3.25%로 높아졌습니다.우리 기준 금리가 현재 2.5%니까 차이가 크죠. 원 달러 환율도 1400원을 넘어섰습니다. 금리 환율 급등하고 반면 주식 시장은 급락하고 있습니다. 미국의 연이은 자이언트 스텝이 우리 경제,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부 조태현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어서 오십시오. 안녕하세요. 요즘 바쁘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은 환율이나 증시 이런 것들이 매일 급변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이 없는 날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습니다. 특히 미국이 기준금리를 지금 0.75%포인트씩 3번 연속 올리면서 우리 금융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잖아요. 먼저 원 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준금리를 높인다는 것은 아주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그 나라 통화의 가치를 그만큼 올리는 거다,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 그런데 달러는 전 세계 국제결제 기준이 되는 기축통화잖아요. 그러다 보니까 투자자금들이 달러 쪽으로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지금은 미국에서 굉장히 가속을 하고 있는데 어느 상황이나 가속을 하게 되면 반드시 탈이 나게 돼 있잖아요. 그런데 이게 미국에서도 탈이 나지만 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는 더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. 그래서 우리 환율도 지금 1400원이 넘고 FOMC 회의 이후에는 장중에 1410원을 넘는 모습도 보여줬는데요. 이게 그러면 우리나라만의 문제냐?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달러인덱스라는 지표가 있어요.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발표하는 지표인데 전 세계 주요 6개 통화를 달러와 비교한 값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전 세계 주요 6개 통화라면 유로, 일본 엔, 영국 파운드 이런 것들이 있는데요. 이 수치가 지금 113을 넘었습니다. 이게 20년 만에 최고치거든요. 그러니까 미국이 기준금리를 빠르게 높이면서 전 세계가 모두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. 특히 금융시장이 직격탄을 맞은 상황이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금리를 너무 급하게 올리면 탈이 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2512473262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