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은 "고환율 지속시 물가 더 올라"…빅스텝 예고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환율이 오르면 외국에서 물건을 들여올 때 원화 표시 가격이 덩달아 올라 국내 물가에 그만큼 부담이 됩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환율이 지금처럼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, 안 그래도 높은 물가가 더 올라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환율 억제를 위한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추석 연휴 뒤 주요 식품업체들은 라면, 과잣값 인상 방침을 줄줄이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국제 곡물값, 식용윳값이 뛴 탓인데,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 이 비용은 앞으로도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되면 정부가 10월 전후로 내다본 물가 정점은 늦춰지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폭도 커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국회에 출석한 이창용 한은 총재가 환율 급등과 관련해 가장 우려한 대목입니다.<br /><br /> "(물가 정점을) 10월 정도로 보고 있는데, 문제는 저희가 예상했던 것보다 유가가 빨리 떨어지는 반면에 환율이 절하됨으로써 그 효과가 상쇄돼서…"<br /><br />환율 불안이 지속되자 정부는 시장 개입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은행들에 달러 주문 동향 실시간 보고를 지시한 데 이어,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시 달러를 한은에서 빌리도록 하는 외환스와프를 맺어 달러 수급 관리에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연말까지 80억 달러에 달할 조선사 달러 선물환 매도를 도와 국내에 달러 공급을 늘릴 계획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환율에 한은은 또 한 번의 빅스텝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 "미 연준의 최종 금리에 대한 시장기대가 변했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국내물가와 성장,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후에…"<br /><br />이 총재는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 "대내외 건전성이 양호한데, 문제가 있는 것처럼 스와프를 달라고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"고 말해 단기간내 실현 가능성이 낮음을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빅스텝 #통화스와프 #미연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