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“소행성 충돌은 공상과학(SF) 소설이 아니다. 소행성 충돌과 인구 증가, 기후변화 등으로 지구가 사람이 살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되는 건 시간문제다.” 세계적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(1942~2018)이 사망 1년 전 한 천체우주과학축제에서 남긴 말이다. <br /> <br /> 6500만 년 전 지구의 지배자였던 공룡을 비롯, 지표면 생명체 70%의 멸망을 이끈 것은 지름 10㎞의 소행성이었다. 1908년 6월 중앙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에 떨어져 2000㎢ 규모의 숲을 쓸어버린 것 또한 소행성으로 밝혀졌다. 당시 폭발력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185배에 달한다고 한다. 소행성이나 혜성 등의 지구 충돌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이란 얘기다. <br /> <br /> 관련기사 [사진] 다트, 소행성을 쏘다 … 지구방어 실험 성공 사실 지금도 운석과 같은 작은 우주천체 물질은 끝없이 지구로 떨어지고 있다.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는 100만 개가 넘는 소행성들이 무리를 이뤄 궤도를 돌고 있다. 또 한 곳, 지구 주위에서도 최근까지 약 1만9000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소행성들이 발견됐다. 이들이 때로 태양계 천체들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궤도를 벗어나고 이 중 일부가 지구와 충돌하고 있다. <br /> <br /> SF영화 딥임팩트나 아마게돈과 같은 얘기처럼 들리지만, 인류는 이미 이런 충돌 가능성에 대비하기 시작했다. 미국 항공우주국(NASA)이 26일 오후 7시14분(한국시간 27일 오전 8시14분) 지구에서 1100만㎞ 떨어진 심우주에서 ‘쌍(雙)소행성 궤도수정 실험’(DART) 우주선을 쌍(雙)소행성 디디모스의 위성 디모포스에 충돌시키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. NASA는 충돌 1시간 전부터 유튜브 TV 등을 통해 충돌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05064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