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인류 최초의 지구 방어 시험이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구 밖에 1,100만km 지점에서 우주선이 소행성에 정확히 충돌한 건데, 실제로 소행성의 궤도가 바꿨는지는 몇 주 뒤에나 알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나의 작은 점으로만 보이던 소행성. <br /> <br />충돌 4분 전, 1천5백km까지 가까워지자 소행성 디디모스와 위성 디모르포스의 모습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충돌 3초 전, 암석으로 가득한 디모르포스의 표면이 드러났고, 이후 신호가 끊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시각 이스라엘에 설치된 천문연의 망원경에는 전체 충돌 장면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총알의 15배 속도로 디모르포스 소행성을 충돌하자 뽀얀 먼지가 주변에 분출됩니다. <br /> <br />우주선은 자판기 크기에 불과하지만 엄청난 속도로 인해 지름 160m의 소행성에 큰 충격을 전달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쌍 소행성 궤도수정 시험, 이른바 DART 미션의 우주선이 우리 시각으로 오늘 오전 8시 14분에 초속 6km 속도로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발사돼 10개월 동안 무려 1,080만 km를 날아가 표적에 정확히 부딪히면서, 인류 최초의 지구 방어 시험이 성공한 겁니다. <br /> <br />[랄프 세멀 / 미국 존스홉킨스대 APL 소장 : 최초로 시도된 지구 방어 실험인 다트 프로젝트의 성공은 NASA가 추진하는 지구 방어 능력의 수준을 바꾸는 역사적인 성취라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충돌 시험은 우주선을 의도적으로 소행성에 충돌시켜 소행성의 진로를 바꿀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NASA는 우주선 충돌에 성공하면서 디모르포스의 공전 궤도가 바꿨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트 우주선과 함께 발사된 리시아큐브는 충돌 3분 뒤 디모르포스에 다가가 충돌 이후의 변화를 촬영했는데, 정확한 관측 정보를 분석하는 데는 며칠이 걸릴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캐롤린 에른스트 / DART 프로젝트 과학자 : 우리는 소행성 충돌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던 시간에 신호를 정확히 잃었습니다. 소행성의 충돌 조각들을 찾을 수 있을 텐데, 아마 꽤 산산조각이 났을 것입니다. 잔해들이 남았겠지만, 알아볼 수 있을지 아직 모르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소행성 충돌 시험의 결과 관측에는 세계 각국의 지상 망원경은 물론 허블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도 동원됩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먼지 분출 등으로 관측이 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92723163967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