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은 최근 여행업 단체 회장이 이끄는 업체들이 코로나 위기 당시 천억 원이 넘는 규모의 공공사업을 대부분 수의 계약 형태로 따냈다는 보도 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추가 취재 결과 업체들이 정부에 청구한 인건비보다 훨씬 적은 액수를 노동자들에게 지급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소식 보도한 김철희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 기자, 먼저 보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희는 지난주부터 생활치료센터 등 방역 시설의 운영 계약과 관련한 수상한 정황을 연속해서 보도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계약은 모두 여행업단체 회장 A 씨가 이끄는 두 업체와 관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업체들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2020년부터 최근까지 전국에서 관련 계약을 225건 따냈습니다. <br /> <br />계약금액으로만 따져도 1,246억 원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언급한 사업은 외국인 입국자 임시생활시설 운영이나 생활치료센터 운영 등 대부분 비슷한 형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기업이 큰 규모의 계약을 따냈다는 것만으로는 문제 삼기 어렵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<br /> <br />공정한 경쟁을 치르고 계약한 거라면 문제가 없을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앞서 저희가 말씀드린 225건의 계약 가운데 91%에 해당하는 206건이 경쟁자가 아예 없는 수의 계약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처음 임시생활시설 운영권을 딸 때부터 경쟁 업체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사업을 진행한 담당자에 따르면 용역업체를 선정하고자 중수본이 문체부에 도움을 요청했고 <br /> <br />문체부가 다시 A 회장이 이끄는 여행업단체에 추천을 부탁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처음에는 A 회장 업체 말고도 두 업체가 더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고사해 수의계약이 이루어졌다는 게 담당자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참여를 고사했다던 업체들은 "제안을 받고 사업을 검토했지만 '이미 다른 곳이 선정됐다'는 설명을 들어 논의를 멈췄다"고 밝히는 등 명확한 거절의 뜻을 알린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계약 규모가 큰 만큼 인건비도 많이 나갔을 것 같은데 거기에도 의심스러운 정황이 있다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최초 보도가 나간 뒤 서울 영등포구 생활치료센터에서 근무했던 전 직원으로부터 제보가 왔는데요. <br /> <br />제보자는 업체가 근무자에게 지급한 것보다 더 많은 돈을 영등포구에 청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저희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철희 (kchee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92816561435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