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거래절벽' 이어 수도권 미분양 급증…작년 말 3.3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택 매수세가 사라지고 거래가 얼어붙으면서 미분양 주택 급증세가 수도권에까지 번졌습니다.<br /><br />작년 말의 세 배가 넘게 불어났는데요.<br /><br />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팽배합니다.<br /><br />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불황 공포와 고금리에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갈수록 얼어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.8, 이 지수는 100보다 낮을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다는 것을 뜻하는데, 한 주새 또 1.1포인트 떨어지며 약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거래 절벽은 5년간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수도권이 더 두드러집니다.<br /><br />올해 들어 지방의 주택매매가 23만900여 건으로,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% 줄었는데, 수도권은 15만4,000여 건으로 절반 넘게 줄어든 겁니다.<br /><br />수도권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심리가 시장에 퍼진 탓인데, 그 영향은 기존 주택 거래 감소뿐 아니라 미분양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작년 말 1,509호였던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8월 말 5,000호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8개월 새 3배 넘게 불어난 것입니다.<br /><br /> "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, 분양가 상승, 집값 하락 등으로 청약 수요가 위축되면서 미분양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선별청약이 두드러지면서 수도권에서도 입지나 규모, 브랜드, 분양가 등에 따른 양극화가 뚜렷해지는 분위기입니다."<br /><br />시장에서는 앞으로 미분양 물량이 더 큰 폭으로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방을 중심으로 정부의 규제 해제가 진행 중이지만 고금리와 불황 조짐 속에 집값 하락 전망이 우세해 분위기 반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위험 부담을 낮추기 위해 분양 일정의 연기나 취소에 나서는 건설사들도 속속 나타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