죽음조차 소외돼…"노인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지만,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도 압도적으로 높습니다.<br /><br />오늘(2일)은 노인의 날인데요. 우리 사회에서 쓸쓸히 생을 마감한 고독사 노인과 스스로 목숨을 끊은 노인들의 명복을 비는 추모제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한채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영정사진 하나 없는 테이블에 사람들이 하나둘 국화꽃을 놓습니다.<br /><br />음악과 장단에 맞춰 살풀이가 시작되고, 망자의 넋을 기리는 넋전춤으로 이어집니다.<br /><br />노후희망유니온 등 노인 단체가 고독사 및 극단적 선택을 한 노인들의 명복을 비는 첫 추모제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60살 이상 무연고 사망자는 3년 전보다 두 배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또 2년 전 기준 극단적 선택을 한 노인은 인구 10만명당 41명으로, OECD 평균보다 2배 더 많은 수치입니다.<br /><br />3년 뒤에는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%에 달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전망이지만, 여전히 노인의 죽음은 사회 문제로 다뤄지지 않는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무연고 노인과 노인 자살은 빈곤과 소외로 인한 사회적 타살로 볼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이들이 쓸쓸히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가난입니다.<br /><br /> "사회활동을 계속하고 싶어 일하는 분들도 있지만 절반 이상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일을 합니다…노인들은 나이 때문에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했거나 가입해도 적은 금액밖에 받지 못합니다."<br /><br />고령층 대부분은 비정규직이거나 자영업, 가사활동에 종사하고 있어 정년 연장과 임금피크제 등의 정책에서도 소외됩니다.<br /><br /> "문제에 항의하려 해도 복지부는 노인 일자리는 복지로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. 노동부는 노인 일자리는 복지부 소관이라고 합니다."<br /><br />노인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, 이들을 위한 촘촘한 지원 대책들이 마련돼야할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. (1ch@yna.co.kr)<br /><br />#노인_고독사 #노인_극단선택 #추모제 #고령사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