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환율 때문에 수입 과일 값이 많이 올랐지요.<br> <br> 다행히 국산 과일 중에서는 오히려 작년보다 더 싸진 것도 있다고 하는데 어떤 걸까요.<br> <br> 강유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주말을 맞아 붐비는 서울의 한 대형마트. <br> <br>수입 과일 코너는 상대적으로 한산합니다. <br> <br>1400원을 훌쩍 넘은 원 달러 환율의 영향으로 바나나, 블루베리 등 수입 과일 가격이 지난해보다 10~30% 올랐기 때문입니다.<br> <br>[정공단 / 서울 용산구] <br>"1주에 (바나나) 두 송이, 블루베리도 5, 6개씩 사가고. (작년보다) 15~20% 오른 거 같아요. 너무 부담이 가서 두 번 올 거 한 번 오고." <br><br>지난해 미국산 체리는 한 팩에 1만 원이 채 안 됐는데요.<br> <br>올 여름엔 1만2000원대, 지금은 캐나다산이 1만4800원에 팔리고 있습니다.<br> <br>환율 여파에다 8월까지 수확하는 미국산 대신 요즘은 캐나다산만 수입해 물량도 줄어서입니다. <br> <br>대형마트 수입 과일은 미국산이 많고, 원산지가 다른 곳이어도 달러로 결제해 들여오기 때문에 환율 급등에 직격탄을 맞습니다. <br> <br>수입 과일 가격이 뛰자 국산 과일을 찾는 사람이 더 많아졌습니다. <br> <br>[김진성 / 서울 용산구] <br>"신선하고 아이가 좋아하고 저희 입맛에 잘 맞고. 국내산 과일이 조금 비싸도 주로 국내산 과일을 먹는 편입니다." <br><br>지난 3월부터 6개월간 한 대형마트의 수입 과일 매출은 3.8% 줄었지만, 국산 과일은 11.5% 늘었습니다.<br> <br>고물가 속에서 국산 과일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서입니다. <br><br>가을 제철 과일인 사과 가격은 1년 전보다 14.6%, 샤인머스캣은 21% 저렴합니다.<br> <br>[대형마트 관계자] <br>"국산 과일은 양호한 기상과 주산지의 태풍 피해도 상대적으로 덜해 현재 물량과 가격 면에서 전년 대비 안정적인." <br> <br>달러화 강세가 우리 식생활도 바꿔놓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강유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장명석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강유현 기자 yhka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