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 상승세 둔화…주유소 기름값 내린 영향 커 <br />여행 관련 서비스 요금도 전월보다 내려 <br />환율 상승·러시아 공세 강화 등 물가 불안 여전<br /><br /> <br />지난달 물가상승률이 5% 중반대를 기록하며 올해 내내 치솟던 물가 오름세가 두 달 연속 꺾였습니다. <br /> <br />주유소 기름값이 내려간 덕이 큰데요. <br /> <br />다만, 최근의 환율 오름세 등의 영향에 물가 불안은 여전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권남기 기자! <br /> <br />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, 다행히 상승세는 조금 꺾이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5.6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는 올해 1월부터 가파르게 오르며 7월엔 외환위기 이후 최고점을 찍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전월인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꺾인 겁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승세 둔화는 국내 주유소 기름값이 떨어진 덕이 가장 큽니다. <br /> <br />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 등에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며 8월 초 1,800원대였던 전국 평균 휘발윳값은 1,600원대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1년 전과 비교하면 경윳값 등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, 가격 내림세가 이어지며 전월과 비교해 물가를 끌어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본격적인 성수기 이후 단체여행이나 승용차 임차료 등이 전월보다 내려가며 물가 상승세가 꺾이는 데 도움을 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배추와 무 가격이 1년 전보다 90% 넘게 폭등했고, 수입 쇠고기도 10% 이상 비싸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풍년인 쌀은 가격이 크게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와 가스요금은 가파르게 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보다 15% 이상 올랐는데, 최근 동반 인상으로 앞으로 더 오르게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최근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우크라이나 전황도 더 악화할 조짐을 보이는 등 물가 불안은 여전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 발표 내용 잠시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어운선 /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: 우선 환율 급등세가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을 증대시키는 그런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고요. 가공식품 가격 인상도 예상되는 것, 예정된 것 같고, 이런 것들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석유류 가격 안정세에 물가가 정점을 찍더라도 당분간 5%대의 고물가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00510044175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