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런데, 이게 끝이 아닙니다. <br> <br>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곧 중국을 견제하는 추가 규제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지는데요.<br><br>내용은 이렇습니다. <br><br>미국산 기술을 사용해 만든 반도체는 미국 허가 없이 중국에 수출할 수 없도록 하는 건데요. <br><br>고성능 반도체는 미국산 기술 없이는 사실상 만들 수 없습니다. <br> <br>우리 반도체 기업의 대중국 수출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><br>이다해 기자가 이어갑니다. <br><br>[기자]<br>현지시각 3일 뉴욕타임스는 "다수의 중국 기업과 연구소들에 화웨이식 제재가 이뤄질 것"이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"미국산 기술을 사용한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판매가 금지될 것" 이라는 겁니다.<br> <br>지난 2020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돼 있다는 이유로 중국 화웨이에 대해 반도체 수출 제재 조치를 폈습니다. <br> <br>미국 기술과 장비를 사용했다면 해외 제품에 대해서까지 미 상무부가 수출을 통제할 수 있도록하는 '해외 직접 생산품 규칙', FDPR을 적용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이번에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같은 FDPR를 중국 전체에 적용해 반도체 수출 제재 조치를 내릴 것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제재 대상 반도체 기술은 인공지능과 슈퍼컴퓨터, 데이터센터에 이용되는 고성능 반도체와 그래픽카드 등이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해당 기술이 중국의 차세대 무기 개발과 함께 신장위구르 등 소수민족 감시 등에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첨단 반도체 개발·생산에 대부분 미국 기술과 장비가 사용되기 때문에 전 세계 반도체의 대중 수출 통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[김문태 /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] <br>"해당 조치가 실현되면 중국 수출이 막힐 것으로 예상돼서 국내기업들한테도 분명히 타격이 있을거고요. 경영 불확실성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요소가 될거고" <br> <br>우리 정부는 미국 행정부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우리 기업의 우려 등을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