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"북 계속 도발시 더 강력한 대응"…안보리 또 이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도발을 지속하면 대응 조치는 더 강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유엔에서는 안보리 회의가 열렸는데 이번에도 의견이 갈리며 결의안 도출에는 실패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칠레를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현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거듭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무모하고 위험한 행동이라며 미국은 억지력을 보여주고 또 강화하기 위해 한국, 일본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북한이 도발을 이어가면 미국의 대응은 더 강경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은 도발을 자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훨씬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. 지금의 길을 계속 가는 것은 비난과 고립을 증가시키고 북한의 조치에 대한 대응을 강화시킬 뿐입니다."<br /><br />미국이 대응 강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나온 직접적인 경고성 발언입니다.<br /><br />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도 한미 군 당국이 미사일 대응에 나선 건 동맹을 방어할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 같은 방어 능력을 계속해서 확실히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유엔에서는 미국의 요청으로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가 소집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올해만 벌써 4번째 회의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을 규탄하는 동시에 북한을 감싸는 중국과 러시아를 향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 "두 회원국은 북한의 거듭된 도발을 정당화하고 추가 제재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. 한마디로 안보리 상임이사국 두 곳이 김정은을 가능케 한 셈입니다."<br /><br />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는 한미연합훈련 등을 거론하며 미국 책임론을 제기했고 추가 제재에도 분명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 "안보리는 강경한 언사나 압력에 의존하기 보다는 한반도 문제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합니다. 안보리 논의는 긴장을 조장하기보다는 억제에 기여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이번에도 안보리 차원의 성명 채택은 불발됐고 서방 이사국과 한국, 일본은 별도의 장외 규탄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미사일 #북한_도발 #안보리 #IRBM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