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IMF 총재 "침체 위험 고조…내년 성장률 더 내릴 것"

2022-10-06 0 Dailymotion

IMF 총재 "침체 위험 고조…내년 성장률 더 내릴 것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제통화기금, IMF 총재가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 한 번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경제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침체의 충격도 과거보다 강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조지타운대 연설에서 경기침체와 금융 불안정성에 대한 위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이유로 다음 주 IMF가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예측치를 더 낮출 것이란 설명입니다.<br /><br />IMF는 지난 7월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.9%로, 4월에 비해 0.3%p 하향 조정했는데 여기서 더 내리겠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세계 경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국가들이 올해나 내년에 최소 2분기 연속 후퇴할 것입니다.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경기침체처럼 느껴질 것입니다."<br /><br />게오르기바 총재는 지금부터 2026년까지 세계 생산량이 독일 경제 규모인 4조 달러, 약 5천600조 이상 감소하는 엄청난 퇴보를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세계 경제가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보다 더 큰 충격이 올 수 있다며 금융자산의 급속하고 무질서한 가격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,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여파로 세계 경제가 예측 가능성의 세계에서 불확실성의 세계로 바뀌고 있고 저금리와 낮은 인플레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질서도 달라지고 있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물가 안정을 위해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은 지속돼야 하고 이로 인해 타격을 입을 신흥시장과 개도국에는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도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다른 나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 "선진국의 거시경제적 긴축이 국제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국가별 상황과 정책 차이가 어느 정도 통화 환율 재조정을 초래할 수밖에 없습니다."<br /><br />미국의 공격적 긴축이 글로벌 침체를 불러올 것이란 우려가 유엔 등에서 나오는 상황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데, 그럼에도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정책은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인플레이션 #세계_경제 #IMF #강달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