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우크라이나 땅이었지만 러시아가 강제로 병합한 크름 반도.<br> <br> 여기에 러시아는 유럽에서 가장 긴 다리를 지었죠.<br><br>우크라이나 군, 이 핵심 보급로를 끊어버리겠다 선언해왔는데 오늘 알 수 없는 큰 폭발이 일어났습니다.<br> <br> 염정원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크름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크름대교 위에 폭발음과 함께 화염이 치솟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“슈욱 쾅”<br><br> 8년 전 러시아가 크름반도를 강제 병합한 뒤 수조 원을 투입해 건설한 유럽 최장대교에서 철도로 운송되던 유류탱크가 폭발했습니다.<br> <br> 우크라이나가 파괴하겠다고 수차례 시사했던 곳으로 러시아군의 핵심 보급로입니다. <br> <br> 폭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우크라이나 측은 "불법적인 것은 모두 파괴돼야 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최근 전세가 뒤집힌 러시아군들은 남부 헤르손에서 탱크에 백기를 달았고 우크라이나군에 포위된 채 바닥에 엎드렸습니다. <br><br>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가 강제병합한 전선을 건너 서울의 4배 넘는 면적을 수복했습니다. <br> <br> 남부의 500㎢ 이상 지역도 우크라이나가 다시 품었습니다.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진격이 시작된 이후 총 2,434㎢의 우리 땅, 그리고 96개의 정착지가 이미 해방되었습니다." <br> <br> 우크라이나 국기가 다시 올라가는 지역도 빠르게 확산됐습니다. <br> <br>[우크라이나 군인] <br>"헤르손 지역 마을 경찰서에 국기를 게양합니다!” <br> <br>결국 러시아 지도부의 분열도 겉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 점령지 행정부 부수반은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국방장관을 공개 비난했고 <br> <br>[키릴 스트레무소프 / 헤르손주 행정부 부수반] <br>"실제 많은 사람들은 '내가 상황을 이렇게 만든 국방장관이라면 장교로서 스스로 총을 쐈을 것’이라는 말도 나온다” <br><br>워싱턴포스트는 핵심 권력층 일부가 푸틴 대통령에게 전황과 관련 직접 이견을 표출했다고 정보당국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