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문해력' 저하 논란…교육 현장 '위기감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우리 사회의 문해력 논란이 다시 불거진 가운데, 문해력이 떨어지면 결국 기초학력 자체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일선 학교 현장의 고민이 큰데요.<br /><br />소재형 기자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직접 알아보기 위해 한 초등학교에 나와있는데요.<br /><br />교실로 들어가서 테스트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논란이 됐던 심심한 사과부터 사흘까지,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다섯 가지 단어를 물어봤습니다.<br /><br />5개 단어 가운데 가장 적은 수의 학생이 안다고 대답했던 '고지식하다'란 말의 뜻을, 손을 든 학생에게 물어봤습니다.<br /><br /> "(이거 뜻 뭐라고요?) 지식이 높다?"<br /><br />이번엔 사흘이란 단어의 뜻을 물어봤더니 절반이 안다고 응답했습니다.<br /><br /> "(이거 뜻?) 4일?"<br /><br />단어의 뜻을 아는 학생 자체가 적었고, 스스로 뜻을 안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어감으로 유추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 "어렵다기보다는 조금 헷갈린게 많았던거 같아요. 사흘이 있는데 그게 3일인지, 4일인지 그게 좀 많이 헷갈렸어요."<br /><br /> "다섯 문제가 있었는데 네 문제 빼고 한 개만 딱 알았어요."<br /><br />일선에 있는 교사들도 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실태를 체감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 "아주 쉬운 단어들이라도 "선생님 이거 이해 안 돼요", "선생님 이게 뭐에요." 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아졌고…"<br /><br />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 결과 국어 과목에서 67%, 수학 과목에서 60%의 교사들이 어린 학생들에게 단어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.<br /><br /> "문해력이 저하되다보니까 기초학력 저하와도 이어질 수밖에 없다. 하루 빨리 문해력을 높이는 교육활동들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"<br /><br />교육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교육부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 수업시간을 종전보다 연간 34시간 더 늘리고, 고등학교에선 매체 의사소통, 문학과 영상 등 과목들을 새로 만들어 미디어 문해력을 높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심심한 사과로 촉발된 문해력 논란. 교육부가 마련한 이 같은 대책들이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는데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#문해력 #기초학력 #심심한_사과 #사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