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의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유일한 분야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우주정거장이 그것인데요,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지시간 지난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우주비행사를 실어 나를 스페이스X의 로켓이 발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로켓에는 러시아 여성 우주비행사 안나 키키나가 탑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2주 전에는 미국인 우주비행사 프랭크 루비오가 카자흐스탄에서 발사된 러시아의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우주정거장에 갔습니다. <br /> <br />우주정거장에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미국과 러시아가 운송수단 확보 차원에서 상대 우주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, 지난 7월에 체결한 협정에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러시아의 이 같은 협력에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에도 우주 협력의 끈을 완전히 놓지 않겠다는 상징적 의미 외에 현실적인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가 우주정거장의 자세 제어 등 운영을 책임지고 있고, 미국이 전원 공급 등 생명 유지 장치를 맡고 있어, 한쪽이 없으면 우주정거장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지난 5월 2024년 이후에는 우주정거장에서 완전히 철수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지만, 지금은 협력을 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세르게이 크리칼레프 /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국장 : 협력에 관해서라면 40여 년 전부터 시작해 왔고 앞으로도 상상할 수 있는 만큼 오래 협력해 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도 협정 연장을 바란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조엘 몬탈바노 / 나사 국제우주정거장 담당 : 우리 계획은 우주정거장 운영을 연장하면서 협력을 이어가 2024년 지나서까지 협정을 유지해 가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국제 관계에선 일방의 우위가 아니라 상호 의존이 평화와 협력을 가져올 수 있다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헌 (dh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01000325053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