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번 연합훈련에 일본이 참여한 점 또 자위대를 독도 근방에 투입시켰다는 점을 ‘친일’의 근거로 설명했지요.<br /><br />그렇다면 이 대표 말대로 정말 일본과 훈련한 게 그렇게 이례적인 건지 ‘독도’와 관련해선 어떻게 봐야 하는지 궁금해집니다.<br /><br />김윤수 기자가 ‘객관적으로’ 팩트를 따져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정치권의 '친일 국방' 논란에 국방부는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"정치적 공세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는게 적절치 않다"는 판단에서입니다.<br /><br />한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의 경우 인도적 차원의 수색·구조 훈련을 2017년 10월까지 수시로 실시해왔습니다.<br /><br />미사일 탐지·추적 훈련은 2016년과 2017년에 모두 6차례 실시했는데, 북한이 쏜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넘어 태평양까지 날아간<br />2017년 8월과 9월 이후 두 차례 훈련은 문재인 정부 시절에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17년 10월엔 송영무 당시 국방부 장관이 미·일 국방 수장과 만나 미사일 탐지 훈련의 지속적인 실시를 합의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함정이 같은 수역에 모인 것은 아니고 한국과 일본 해역에서 각자 미사일을 탐지·추적하는 형식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미일 대잠 훈련은 2017년 4월 처음 실시된 후 지난 달 5년 만에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군은 이번 훈련이 독도 인근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공해상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군은 오히려 일본 본토와 더 가까운 곳에서 훈련했다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[김승겸 / 합참의장(지난 6일)]<br />"독도와는 185km 떨어져 있었고, 그다음에 일본 본토와는 120km 떨어져 있는 곳으로 제가 알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함대가 독도 해상에서 처음 연합 훈련을 한 건 2009년 7월 입니다.<br /><br />독도 동남방 80㎞ 해상에서 수색 구조 훈련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한·일 연합훈련은 주로 제주도 남방 해역 등지에서 실시한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.<br /><br />영상편집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