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년 10월 중국 대륙과 타이완은 2개의 국경절 행사를 치릅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은 독립, 중국은 통일을 주장하는 정반대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, 반도체를 둘러싼 미중 대립까지 얽혀 양안 관계가 어느 때보다 복잡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11년 10월 10일 쑨원의 '신해혁명'을 건국일로 삼는 타이완. <br /> <br />쌍십절 111주년을 맞아 미국과 캐나다, 일본 의원들이 대거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이잉원 총통은 기념 연설에서 타이완의 독립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차이잉원 / 타이완 총통 : 양안 간 무력 대치는 절대 선택 사항이 될 수 없습니다. 베이징 당국이 우리의 주권과 민주, 자유를 존중해야만….] <br /> <br />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의 신중국 선포를 건국일로 기념하는 중국 대륙에서는 정반대의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16일 시진핑 집권 3기를 열면서 '타이완 통일'을 100년 역사의 숙제로 설정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진 타이완 반도체에 대한 중국의 높은 수입 의존도가 전쟁을 막아줬지만, 이젠 반대로 무력 통일도 불사해야 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칩4 동맹'에 이어 핵심 장비 수출 금지 등 중국의 '반도체 굴기'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 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제이크 설리번 /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(지난 8일) : 반도체 기술의 특성에 따라 첨단 로직과 메모리칩 영역에서는 최대한 격차를 유지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전쟁이 나면 중국이 타이완 대표 반도체 기업 TSMC부터 접수할 거란 관측 속에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한 생산 시설 파괴 또는 핵심 인력 탈출 시나리오가 나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홍콩처럼 타이완을 특별행정구역으로 관리하자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은 중국에 거액을 투자한 머스크의 주권 침해 발언이라며 발끈하고 나섰지만, 중국은 맞장구를 쳤습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타이완은 특별행정구로서 고도의 자치를 누릴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편 중국산 희토 자석이 들어갔다는 이유로 중단됐던 미군의 F-35 스텔스 전투기 인수가 재개되자, 중국 관영 매체는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반도체 옥죄기에 맞서 희토류를 자원 무기로 삼을 수 있다는 경고로 들립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01021241528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