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크름대교 폭발 이후 보복 공격에 나선 러시아가 이번엔 드론 폭격기로 키이우를 타격했습니다.<br><br>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동트기 전 어두운 하늘에서 붉은빛이 치솟고 총소리가 들립니다. <br> <br>크름대교 폭파 이후 지난 10일부터 보복에 나선 러시아가 현지시각 오늘 새벽엔 드론을 이용해 수도 키이우를 기습 공격했습니다. <br> <br>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키이우의 주요 기간 시설이 공격을 받았다고 발표했지만 정확한 위치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<br> <br>우크라이나는 최근 몇 주간 러시아가 이란제 드론 '샤헤드-136'을 이용해 공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 이란은 자폭용 드론으로도 알려진 이 드론을 러시아에 공급하지 않았다며 부인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나흘째 보복공격에 나선 러시아군은 겨울철을 앞두고 전력 등 기반시설을 집중타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(일부 정전은) 전력 생산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전체 전력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." <br> <br> 현지시각 어제 유엔본부에선 러시아의 불법적인 병합 시도를 규탄하는 결의안이 네 번째로 통과됐습니다.<br> <br>러시아가 우크라이나 4개 지역에서 실시한 주민투표가 효력이 없으며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.<br> <br>러시아, 벨라루스, 북한 등 5개국이 반대했고 중국, 인도 등 35개국이 기권했지만 <br><br>[바실리 네벤쟈 / 러시아 UN대사] <br>"이번 결의안은 서방이 부과한 추악한 이중 잣대로 가득 차 있습니다." <br> <br> 네 차례 유엔총회 결의안 가운데 가장 많은 143개국이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 <br> <br> 유엔 안보리 결의와 달리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