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런데, 우리 안보 점검해야 할 대목이 많아 보입니다. <br> <br>지난 5일 북한이 중거리탄도미사일을 쏘자, 맞대응 형태로 세 발을 쐈는데, 한 발은 뒤로 날아가 낙탄이 됐고, 다른 한발도 발사 후 추적에 실패해 어디에 떨어졌는지 놓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그래놓고 발사 당시엔 정밀타격을 했다고 발표했었습니다. <br> <br>김재혁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 기자로 이어갑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5일 새벽 0시 50분쯤 우리 군과 주한미군이 강원도 강릉 공군기지에서 동해상으로 전술지대지 미사일 에이태킴스를 각각 2발씩 발사하는 모습입니다. <br> <br>전날 4500km를 날아간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IRBM 도발에 대한 대응 사격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당시 '정밀 타격'을 했다던 군 당국의 발표와는 다르게, 이날 우리 군이 쏜 전술지대지미사일 2발 중 1발이 비행 도중 추적 신호가 끊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[김준락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1발이 충분한 비행 거리를 비행하다가 추적 장비에서 소실됐습니다." <br> <br>2시간 전인 4일 밤 11시 같은 장소에서 쏜 현무-2C 탄도미사일이 발사 직후 낙탄한 데 이어 킬체인의 주력인 에이태킴스마저 사실상 원점 타격에 실패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다만, 무기 개발을 전담하는 국방과학연구소는 책임을 미국에 돌렸습니다.<br><br>[박종승 / 국방과학연구소 소장] <br>"에이태킴스는 국산이 아닙니다. 미제입니다. 미국이 한국에 수출할 때 소위 일체 접근을 못하게 돼 있습니다." <br> <br>이와 함께 현무-2C 낙탄 사고를 두고 군의 은폐 의혹도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어제 사고 현장을 찾은 국회 국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"추진체가 떨어져 불이 난 곳이 당초 군이 밝힌 골프장이 아니라 유류저장고였다"고 지적한 겁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"유류저장시설이 견고해 낙탄으로 인해 폭발할 위험성이 전혀 없었다"고 해명했지만, 애초에 관련 내용을 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영수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