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사원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감사를 마친 가운데 중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은 관련 기관들의 은폐 행위 등이 드러났다며 관련자 20명을 검찰에 수사 요청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세호 기자! <br /> <br />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감사원은 지난 6월부터 지난 2020년 9월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국방부, 해경 등 9개 기관에 대한 감사를 진행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사건 당시 국방부와 해경 등은 북한군에게 피격돼 숨진 고 이대준 씨가 월북한 것으로 판단했는데요, <br /> <br />국방부, 해경 등은 지난 6월 16일 기존 발표 내용을 번복해 월북을 인정할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은 이와 관련해 객관적, 실체적 진실을 규명해 국민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감사에 착수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은 특별조사국 인력 18명을 투입해 관련 기관들의 초동 대응이나 사건 발표 등 업무처리를 집중적으로 점검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은 직무유기, 감사원법 위반 등의 혐의가 있는 20명을 검찰에 수사요청을 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수사 대상에는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,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, 서욱 전 국방부 장관 등 문재인 정부 핵심 안보라인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감사를 통해 지적된 문제점은 우선 국가 안보실의 경우, 2020년 9월 22일 17시 18분경, 북한 해역에서 이대준 씨가 발견됐다는 사실을 국방부로부터 전달받고도, <br /> <br />대북 통지 등의 주관부처인 통일부는 제외했고, 대응방향 결정 등을 위한 '최초 상황평가회의'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같은 날 오후 6시 36분쯤 안보실은 청와대 내부 보고망을 통해 당시까지 파악된 상황 등을 작성한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한 후, <br /> <br />상황이 끝나지 않았는데도 안보실장 등 주요 간부들은 한 시간 쯤 뒤인 오후 7시 반쯤 퇴근하는 등 국가위기 관리컨트롤타워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국방부, 즉 합참은 이대준 씨 발견 정황을 처음 보고받고 상황 평가 회의를 했지만, 인질 구출 등을 위한 작전을 검토하지 않은 채, <br /> <br />통일부가 주관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군에서 대응할 것이 없다고 결론 내리고 회의를 종료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해경의 경우 안보실, 국정원으로부터 이대준 씨 발견 정황을 전달받고도, 안보실이 정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101320322560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