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고물가·고환율 충격 여전한데…경기 하강 우려 점증

2022-10-14 0 Dailymotion

고물가·고환율 충격 여전한데…경기 하강 우려 점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공행진하는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강도 긴축이 이어질 수밖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문제는 고물가 속에 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물가 정점 시기가 늦어질수록 정부의 경기대책도 늦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제유가 하락으로 주춤하던 수입물가가 석 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54.38 8월보다 3.3%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급등한 원·달러 환율이 수입 제품값을 끌어올린 탓입니다.<br /><br />고공행진하는 물가가 꺾이지 않자 한국은행이 11월 또 한 번 금리를 0.5%포인트 올리는 '빅스텝'을 밟을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상황은 고강도 통화 긴축의 진원지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8.2% 올라 시장 예상을 뛰어넘자 한은은 "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 긴축을 강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됐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정부와 한은이 '물가와의 전쟁'에 힘을 쏟는 동안, 경기 하강 본격화 징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는 점입니다.<br /><br />기획재정부는 '최근 경제동향 10월호'에서 다섯달 연속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수출 회복세 약화 속에 금융시장 변동성과 세계 경제 하방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, 주요국의 금리인상 가속화 기조,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확전 우려, 중국 봉쇄조치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및 세계경제의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일단 물가 안정이 최우선이라고 거듭 강조하지만, 그간 고수해온 '10월 물가 정점론'이 빗나갈 경우, 경기 부양의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정점 #한은 #빅스텝 #경기둔화 #우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