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꿈의 기술' 양자...국내 인재 확보가 관건! / YTN

2022-10-14 2 Dailymotion

美 IBM, 127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…초저온 작동 <br />中 과학기술대, 66큐비트 양자컴퓨터 선보여 <br />2030년 양자 기술 연구자 천 명으로 늘릴 방침 <br />올해 안에 양자 기술 인재 확보 방안 마련<br /><br /> <br />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 기술의 핵심 이론을 실험으로 증명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죠. <br /> <br />추후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꿔줄 양자 기술은 현재 미국과 중국이 앞서가고 있는데, 무엇보다 양자기술 인재 확보가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우리나라도 인재 양성 대책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 중인 양자 컴퓨터입니다. <br /> <br />내부에 다이아몬드 조각이 있는데, 다이아몬드 속 미세한 공간에서 거시 세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성질을 가진 '큐비트'가 만들어집니다. <br /> <br />큐비트는 동시에 여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데, 큐비트를 여러 개 가진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가 엄두도 못 낼 정도의 복잡한 계산도 빠르게 해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가 비트인 것처럼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라는 단위를 쓰는데요, 연구진은 올해 안에 큐비트가 5개인 양자 컴퓨터를 내놓을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한상욱 / KIST 양자정보연구단장 : 양자 상태를 상온에서도 유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발전 가능성은 더 있다고 (생각합니다.)] <br /> <br />미국 IBM은 지난해 초전도체를 이용해 영하 270도에서 작동되는 127큐비트 양자 컴퓨터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과학기술대도 유사한 방식으로 66큐비트 양자컴퓨터를 선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상용화되려면 아직 멀었지만, 기술은 우리나라보다 수십 배 앞서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정연욱 /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 : (선도국가들은) 정부 투자의 연구 결과가 성과가 나오면서 그 결과를 받아서 민간이 뛰어들기 시작했고요. 산업체나 민간이 들면서 연구개발의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습니다.] <br /> <br />양자기술 선도국과의 격차를 좁히려면 무엇보다 인재 확보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미국은 양자 기술 연구자가 3,122명, 중국은 5,518명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490명이고, 연구 환경이 더 나은 해외로 나간 우리 연구자도 50명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[김재완 /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 : 몇 년 전까지는 양자 기술 연구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를 (국내에서) 얻는 것이 어려웠고, 원하는 연구를 하는 연구비를 마련하기도 어려웠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내후년까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10150746058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