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매에서 낙찰된 물건 비율이 '낙찰률'인데요, 최근 경매 시장에서 서울 빌라들의 낙찰률이 두 달 연속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습니다. <br /> <br />잇따른 금리 인상에 이른바 '깡통 전세' 물건이 경매 매물로 대거 풀리고 있는 점이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금천구에 있는 한 빌라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전용 46㎡ 한 세대가 감정가 3억4천만 원에 경매로 나왔지만, 이후 다섯 차례 유찰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번 유찰될 때마다 20% 정도 가격이 낮아지다 보니 최저 입찰 가격이 1억 원대까지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낙찰받아도 현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 2억4천만 원을 돌려줘야 하는 상황이라 낙찰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공인중개사 A (서울 금천구) : 입찰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메리트(이점)가 없죠. 10%, 20%라도 시가보다 싸게 받아야 하는데….] <br /> <br />낙찰률 하락은 최근 서울 빌라 시장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월부터 내림세를 보이더니 지난 8월에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뒤 9월에는 더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서울 빌라 경매 물건 10건 가운데 3건은 낙찰을 받았지만, 9월에는 10건 가운데 1건만 새 주인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100% 이하면 감정가보다 낮게 낙찰된 걸 뜻하는 낙찰가율 역시 내림세입니다. <br /> <br />5월에는 98%로 집계됐지만, 9월에는 90% 초반까지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인기가 저조하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낙찰자는 대부분 대출을 받아 잔금을 내는데, 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선뜻 나서기가 어려워진 겁니다. <br /> <br />집값 하락기에는 아파트보다 환금성이 떨어지는 빌라로 이익을 내기 힘들다는 인식도 작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우병탁 /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: 빌라의 경우 원래 가격이 가장 나중에 오르고 떨어질 때는 가장 먼저 떨어집니다. 결국, 주택 가격 하락의 영향을 아파트보다 빌라가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보이고요.] <br /> <br />전세보증금이 매매가보다 더 비싸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경매로 넘어오고 있는 '깡통 전세' 물건도 낙찰률 하락을 가속화 하는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주현 / 경매 정보 업체 '지지옥션' 선임연구원 : 그런 매물들이 경매로 넘어와도 어차피 보증금을 인수해야 하기 때문에 낙찰이 안 되고 계속 유찰을 거듭할 수밖에 없거든요. 그렇다면 당연히 경매 시장의 낙찰률은 더 하락할 수밖에 없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기성 (choiks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01605264730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