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창용 "금리 대외 여건에 달려…미, 강달러 역파급 고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%대 이상의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한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이란 기조를 거듭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인상 폭을 제시하기에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임을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의 강달러 기조는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이로 인한 역파급도 고려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IMF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찾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현지 싱크탱크 강연에서 한국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총재는 지난주 한국이 연속 '빅 스텝' 금리 인상을 단행한 배경으로 성장 하방 리스크가 커졌고 환율 상승으로 5~6%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꼽았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의 물가 수준이 이어진다면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란 기조도 거듭 분명히 했는데, 다만 인상폭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너무 커 예측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 fomc 결정이 11월에 어떻게 될지 기름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, 엔과 위안화가 어떻게 움직일지 불확실성이 많아서 지금은 미래에 대해 말을 안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불확실성이 너무 큽니다,"<br /><br />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암울한 전망을 내놨습니다. 결국 우크라이나 사태가 끝나야 잡힐 수 있는데 당장 눈 앞에 해법이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이번 연차총회에서도 장기화 전망에 대한 공감대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미국의 강달러 기조 역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동시에 강달러 장기화가 세계에 미칠 부정적 여파와 부정적 영향이 다시 미국에 유입될 가능성, 이른바 스필백도 고려하게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 "(파월 연준 의장이) 미국 자체가 인플레이션이 높기 때문에 계속해서 금리를 당분간은 물가 안정을 위해서 올리는 트렌드를 계속가져가야 한다//그러면서 동시에 스필오버 같은 것도 유심히 보고 있다고 말씀하셨으니까…"<br /><br />꾸준히 거론되는 통화스와프 체결 요구에 대해선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라고 거듭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상시스와프를 맺은 다른 나라도 환율이 절하되고 있고 2008년 스와프를 체결 했을 때도 단기 효과만 있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이창용 #물가상승률 #기준금리 #IMF_연차총회 #스와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