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 먹통 사태 나흘째인 오늘 주요 기능 대부분 다시 작동하고 있지만, 일부는 여전히 복구가 안 돼 시민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재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과수는 처음 불이 난 배터리를 수거해 정밀 분석하고 있고, 경찰은 현장 직원들을 불러 과실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태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SK 씨앤씨 데이터센터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며칠간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던 카카오 서비스, 현재 복구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제까지만 해도 불안정하다는 지적이 나오던 모바일과 PC 카카오톡의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 주요 서비스는 현재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처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은 서비스들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카카오는 오늘 오전 9시 기준으로 다음 메일과 톡 서랍, 카카오페이 일부 주요 기능 등이 아직 정상화 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오늘 중으로 일부 기능은 복구 작업이 마무리될 거로 예상한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버 복구가 지체되고 있는 게 문제인데, 데이터 서버 3만2천여 대 가운데 9천여 대는 화재 나흘째인 오늘까지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는 서버 복구 작업이 아직 진행 중이라 서비스 전체 복구가 완료되는 시점도 정확히 특정하기는 어렵단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카카오톡이나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주기적으로 복구 현황을 알리면서, 이용자들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화재 원인에 대한 조사도 진행되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처음 불꽃이 튄 전기실 배터리를 정밀 분석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확한 분석 결과가 나오려면 최소 3주에서 길게는 1달 가까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경찰 등이 화재 당시 CCTV를 분석한 결과 불은 전기실 안에 있던 배터리 1개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CCTV를 봤더니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처음 스파크가 일어난 뒤 화재가 발생했고, 곧이어 자동소화 설비가 작동하는 모습이 확인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와 별도로 경찰은 당시 현장에 있던 SK 씨앤씨 관계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화재가 발생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불이 나는 과정에서 현장 직원들의 과실이 있었는지와 함께 평소 설비를 관리 감독하는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1816093414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