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, 또 심야 포격…중국 당대회 중 이례적 도발<br /><br /><br />이와 관련해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 전화로 연결돼 있는데요.<br /><br />교수님, 아침 일찍 전화 연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.<br /><br /> 북한이 어제(18일), 밤 10시쯤부터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 발을, 밤 11시쯤부터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 발의 포병사격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 상황을 간략하게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 북한의 이번 도발은 중국공산당 제20차 당대회 3일 차에 이뤄졌다는 점이 가장 주목됩니다. 그동안 중국 당대회 기간에는 북한이 도발을 자제할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는데 북한이 중국의 눈치를 안 보는 건가요?<br /><br /> 북한은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동·서해상 심야 포격은 북침전쟁연습 시기 도발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결국 지난 17일부터 시작된 하반기 야외 기동훈련인 호국훈련에 맞대응 성격이라는 건데 우리 군은 통상적인 훈련인 거 아닌가요?<br /><br /> 북한의 이번 포사격 낙탄 지점도 '9·19 군사합의'에 따른 북방한계선(NLL) 이북 해상완충구역 이내라고 합참은 설명했습니다. 이처럼 북한의 9·19 위반이 잦아지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이번에는 우리 군 당국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북한의 '적반하장식' 도발에 대해 9·19 합의에 위반하는 대응조치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.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방침에 따른 거죠?<br /><br />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서 내달 미국 중간선거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나 제7차 핵실험 등 대형도발 가능성에도 더욱 무게가 실리는 양상입니다.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