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무부의 ‘검수원복(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)’ 드라이브에 경찰국 신설 논란이 맞물려 한때 경란(警亂)으로 치닫던 경찰 내부가 어느새 조용해졌다. 새 정부 출범이후 무기력증을 호소하던 분위기가 걷히면서 경찰은 보이스피싱 등 악성사기 근절과 마약사범 검거 등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. 윤희근 청장 체제가 서서히 자리를 잡는 모양새다. <br /> <br /> 77회 경찰의 날(10월 21일)을 앞두고 지난 18일 서울 미근동 경찰청에서 진행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은 “계급정년에 쫓겨 승진 때문에 눈치 보는 일 없이 소신껏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하다”고 말했다. 그러려면 총경 직급을 300명 이상 증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. 또 지난 7월1일 취임과 동시에 꺼낸 ‘선도적 미래 치안’을 다시 강조했다. 과학치안ㆍ글로벌치안ㆍ플랫폼치안의 3축으로 구성된 비전이다. 다음은 일문일답<br /> <br /> <br /> ‘미래 치안’. 좀 추상적이다. “기술발전에 따라 범죄 양상도 급변하고 있다. 마약 거래의 30% 정도가 인터넷을 통해 이뤄진다. 5년 전만 해도 볼 수 없던 현상이다. 신종 사건이 터질 때마다 “인원이 부족하다”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사람을 늘려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. AI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범죄 양상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. 예를 들어 현장 상황은 물론 범죄 위험도까지 판단할 수 있는 ‘지능형 CCTV’가 도입을 앞두고 있고 실종자 수색용 드론도 확대하고 있다. 이외에도 치안 분야에서 첨단 기술이 활용될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. 4족 로봇이 위험지역 순찰을 맡는 날이 머지않았다. 향후 5년 내에 선진국처럼 국가 R&D 예산 중 2~3%를 치안분야 끌어들이는 게 목표다. 현재는 0.5%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11002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