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년 뒤 '나홀로 가구' 대세…5집중 1집은 독거노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저출산 고령화가 심각하다는 얘기 많이 들으셨을텐데요.<br /><br />통계청이 시뮬레이션을 돌려봤더니 30년 뒤에는 혼자 살거나, 결혼은 했지만 자녀를 낳지 않은 가구 비중이 75%가 넘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5집 중 1집은 독거노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0년 뒤 한국의 가구 구조를 예측해봤습니다.<br /><br />2020년만 해도 울산·세종·대구·인천·경기 다섯 시도에서는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, 30년 뒤인 2050년에는 17개 시도 모두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많아지게 됩니다.<br /><br />전국적으로 보면, 10집 중 4집은 혼자 산다는 겁니다.<br /><br />30년 동안 1~2인 가구는 꾸준히 늘어나 전체의 75.8%를 차지할 전망인데, 같은 기간 자녀가 있는 3~4인 가구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4인 가구 비중은 세종시를 제외하면 10%를 밑돌았는데 결혼을 하지 않거나,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고령화가 진행되면서 65세가 넘는 고령자 가구 비중도 전국에서 절반 가까이 차지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전남은 그 비중이 60.3%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고, 전국적으로도 5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이처럼 심각한 인구 절벽을 막으려면 생산 연령 가구 비율을 높여야 하고, 특단의 저출산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현재 농촌에서 보이는 패턴이 도시로도 확산될거다로 해석하면 되는 거고요. 자녀 출산을 주저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되고…"<br /><br />또, 저출산 고령화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확인된 만큼, 이민 정책 활용도 적극 고려할 때라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1인가구 #독거노인 #가구구조 #저출산 #고령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