향후 5년 동안 중국을 이끌어 나갈 공산당 수뇌부 7명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이 3연임을 넘어 1인 권력 독점 체제를 얼마나 확고히 다졌는지 가늠자가 된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중국 현지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공산당 수뇌부 어떻게 구성이 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방금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7명이 처음 외신 기자들 앞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서열 순서대로 입장을 했는데 이후에는 시진핑 주석 양옆으로 나눠서 섰습니다. <br /> <br />예고된 대로 리커창 비롯 4명이 퇴진을 했고요. <br /> <br />그 자리를 시진핑 계열로 채운 것이 확인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'리틀 후진타오'로 불리는 후춘화의 상무위 진입 여부가 관건이었는데, 결국 들어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리창 상하이 서기가 2위 신임 총리가 될 걸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사하이 도시 봉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인사인데, 이번에 총리 자리를 꿰찼습니다. <br /> <br />- 시 주석의 인사권이 그만큼 강해졌다는 반증입니다. <br /> <br />왕후닝은 서열 3위, 우리 국회의장 격인 전인대 상무위원장을 올라설 거란 전망이 많았습니다. 실제는 자오러지, 왕후닝은 4위 정협 주석을 맡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의외의 인물이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차이치 베이징 당서기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상무위에 진입을 하게 됐고 역시 시진핑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새로운 중국 공산당 수뇌부,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30년 동안 중국은 집단 지도 체제로 운영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공산당 내 여러 계파가 권력을 나눠가지면서 10년씩 번갈아 집권하는 구조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정치 체계가 형성된 것엔 역사적인 이유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국부로 추앙받는 마오쩌둥의 경우 종신 집권을 하면서 막판에 중국을 혼란에 몰아 넣은 독단적인 판단을 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중국 경제를 오히려 후퇴시켰다고 평가받는 '대약진 운동'과 10년 동란으로 불리는 60년대 '문화대혁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덩샤오핑 시대로 접어 들면서 개혁개방과 함께 추진한 것이 1인 권력 독점을 금기하는 집단 지도 체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시진핑 집권 10년 동안 이 체제가 서서히 와해되기 시작했고요. <br /> <br />이번 집권 3기로 접어 들며 1인 집중 영도체제로 되돌아가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시진핑이 집권 명분으로 내세운 중화민족의 부흥은 과거 중국이 세계를 제패했던 제국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02313190277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