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중국이 오늘은 최고지도부 명단을 발표했는데 한 명도 빠짐없이 ‘시진핑의 사람들’로만 채웠습니다.<br> <br> 그 누구도 시 주석이란 절대권력을 흔들 수 없는 시대, 당장 대만이 느끼는 위기감이 상당합니다.<br> <br> 베이징 공태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시진핑 집권 3기의 최고지도부가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> <br>3연임이 확정된 시 주석을 선두로 최고지도부인 상무위원회의 새 구성원 7명이 서열 순서대로 입장합니다. <br><br>리창 상하이시 당서기, 차이치 베이징시 당 서기, 딩쉐샹 당 중앙 판공청 주임, 리시 광둥성 당 서기 등이 새로 진입했습니다. <br> <br>잔류한 자오러지와 왕후닝까지 모두 시 주석의 측근 그룹인 이른바 시자쥔으로 분류됩니다. <br><br>리커창 국무원 총리 대신 2인자로 등극한 리창은 내년 3월 총리 자리를 넘겨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자오러지는 국회의장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큽니다. <br><br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] <br>"우리는 당의 본질과 목적, 자신의 사명과 책임을 명심해야합니다."<br> <br>장쩌민 전 주석이 이끄는 상하이방과 공산주의청년단파 등 견제 세력이 배제되면서 덩샤오핑 이후 유지됐던 집단지도체제는 사실상 시진핑 1인 독주체제로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어제 당 대회 폐막식 도중 공산주의청년단을 대표하는 후진타오 전 주석의 갑작스런 퇴장 역시 독주 체제에 대한 반발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중국 관영통신 신화사는 어제 밤 트위터 영문 계정을 통해 "후진타오의 퇴장은 건강 문제 때문"이라며 해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트위터는 중국에서 접근이 금지돼 있습니다. <br><br>이런 가운데 어제 개정된 중국 공산당 당장엔 '대만 독립을 단호히 반대하고 억제해야 한다"는 내용이 처음 명기됐습니다. <br><br>견제 세력이 제거된 시진핑 집권 3기는 대만 문제에 있어 한층 더 강경 기조를 이어갈 전망입니다. <br> <br>대만해협을 둘러싼 미중 간 신경전 역시 고조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