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 연구자의 절반 정도가 자신의 사회적 평판이 대학교수나 정부 연구소의 연구원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갈수록 심해지는 기술전쟁의 첨병인 기업 연구자들의 사기를 높여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반도체는 갈수록 작고 정교하게 진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면적에 얼마나 많은 층을 쌓을 수 있는지가 경쟁의 핵심, <br /> <br />국내에서 개발된 238단 4D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이 경쟁에서 세계 1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안정열 / 엔지니어상 수상자(대기업 부문) : 경쟁력은 세계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고요, 앞으로 기술 혁신을 통해 1등 우위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중소기업은 틈새, 국산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누리호의 금속 소재 연료 탱크를 탄소 복합소재로 바꿔 중량을 30~40%가량 줄였습니다. <br /> <br />항공기 좌석도 기술력을 인증받은 기업에서만 만들고 수리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수영 /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(중소기업 부문) : 기술력을 확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뭔가 제품을 만들어내고 사업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….] <br /> <br />심화하는 기술 패권 시대 <br /> <br />기업 연구자들은 마치 전쟁과도 같은 경쟁의 최전방에서 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기업 연구자의 70%는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지만, <br /> <br />사회적인 평판은 낮다고 생각하는 연구자가 절반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계 연구자의 사기 진작을 위해 도입된 것이 '기술개발인의 날' <br /> <br />대학과 정부 출연 연구소 위주의 정부 제정 기념일이 '과학인의 날'이라면 <br /> <br />기업부설 연구소가 처음 도입된 1981년 10월 24일을 기념해 '기술개발인의 날'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구자균 / 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 :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서 공헌한 그런 사람들이 제대로 인정받고 평가받을 수 있는 그런 무언가가 있지 않겠는가, 그것이 곧 기술개발인의 동기 유발을 하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기업 연구소는 국내 연구개발 투자의 79%를 차지하고 있으며, 연구자는 44만 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2102503231367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