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 안보라인 고위급 인사들이 감사원 감사 결과를 반박하는 합동 회견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월북 몰이는 없었다고 했는데요. <br> <br>당시 고 이대준 씨가 북한에 있는 걸 알면서도 왜 구하지 않았나는 질문엔, 이 씨가 월북 의사를 밝혀 일방적 억류와는 다른 상황이라 군사조치는 불가능했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자세한 내용은 윤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해 공무원 피격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있는 문재인 정부 외교안보 고위급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> <br>논란 이후 공개석상에 첫 등장한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은 '월북몰이'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[서훈 / 전 국가안보실장] <br>"근거 없이 월북으로 몰아간 적도 없고 그럴 이유도 실익도 없습니다. 자료 삭제 지시, 없었습니다." <br><br>오히려 '월북'이란 주요단서를 은폐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감사원 중간 감사 결과 드러난 한자가 쓰여진 구명조끼, 중국어선 등에 대해서는 "처음 듣는 얘기"라며 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박지원 전 국정원장도 첩보 무단 삭제 지시 의혹을 일축했고,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'정치보복'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. <br> <br>[박지원 / 전 국가정보원장] <br>"삭제를 지시한 적도 없지만, 설사 지시를 했다 하더라도 개혁된 국정원 직원들은 이러한 지시를 따를 만큼 타락한 바보들이 아닙니다." <br> <br>[노영민 / 전 대통령비서실장] <br>"남북관계조차 전 정권에 대한 정치보복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것이 될 것입니다." <br> <br>A4용지 8페이지 분량의 입장문에서는 "현 정부가 자의적·선택적으로 짜맞추면서 사건을 왜곡·재단하고 있다"며 규탄했습니다. <br><br>국민의힘은 "자기 항변에 불과한 가해자들의 방탄 기자회견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