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군, 7년 만에 일본 관함식 참가…"안보상황 고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해군이 7년 만에 일본 관함식에 참가합니다.<br /><br />'바다 위 열병식'으로 불리는 관함식은 군함의 전투 태세를 검열하는 해상사열 의식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우리 군이 전례에 따라 일본 해군의 자위함기에 경례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 해군이 해상자위대 창설 70주년을 맞아 다음 달 6일 국제관함식을 개최합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지난 1월 일본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았는데, 행사 약 열흘을 앞두고 참가를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2015년 이후 7년 만입니다.<br /><br />우리 군에서는 장병 137명과 1만 톤급 군수지원함 소양함이 참가합니다.<br /><br />참가국은 주최국 함정에 경례해야 하는데, 이 경우 우리 해군이 욱일기가 달린 일본 함정에 경례하게 돼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군은 전범기인 욱일기와 외관상 비슷한 '자위함기'가 게양될 예정이라며 전례에 따라 경례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과거 일본이 주관한 국제 관함식에 우리 군이 두 차례 참가했고, 중국을 포함해 다른 국가들도 이 자위함기에 경례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깃발 문제는 한국이 관함식을 주최한 2018년에도 문제가 됐습니다.<br /><br />한국 정부가 일본에 욱일기 대신 일장기 게양을 요청했는데, 일본이 이를 거절해 관함식에 불참한 겁니다.<br /><br />국방부는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 등 엄중한 한반도 정세를 고려한 결정이었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관함식 외에도 30여 개국 해군참모총장이 참석하는 서태평양 해군 심포지엄과 연합 수색·구조훈련에도 참여해 참가국 간 상호운용성을 높일 기회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미일 연합훈련에 대해 '친일 국방'이라 비판해온 야당의 강도 높은 비판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일본의 식민지배 통치에 대한 그 이념에 동조한다는 선언과 비슷해요. 그거 하시겠습니까? 총장은 옷 벗어야 할지도 몰라요."<br /><br />중국은 이번 관함식에 참가하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#관함식 #군수지원함 #자위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