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.<br> <br>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 뉴스에이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시작하겠습니다. <br> <br>경북 봉화 아연 광산 지하 190미터 아래에 광부 2명이 매몰돼 있습니다. <br> <br>그제 오후 6시에 연락이 끊겼으니 벌써 49시간 째 땅 속에 있는 건데요, <br> <br>그래도 갱도 안에 공간이 있고 지하수도 있기 때문에 소방당국은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시간이죠. <br> <br>100명 넘는 인력과 장비 수십 대를 투입해 구출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현장 연결해보겠습니다. <br><br>조현진 기자, 이제 해가 빨리 집니다. <br><br>구조 작업 할 순 있나요?<br><br>[기자]<br>전 경북 봉화 아연광산 입구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밤이 됐지만 작업용 엘리베이터가 쉴새 없이 갱도 내부 토사를 퍼 올리고 있는데요. <br> <br>사고가 난 지 사흘째지만 구조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사고가 난 건 그제 저녁 6시쯤입니다. <br> <br>1갱도 지하에서 레일을 설치하던 중, 45미터 지점에서 9백여 톤의 토사가 쏟아지면서 발생했습니다. <br><br>작업자 7명 중 5명은 자력으로 탈출하거나 동료들에게 구조됐지만 190미터, 가장 깊숙한 곳에 있던 작업자 2명은 아직까지 생사확인이 안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 광산구조대가 1갱도와 250미터 떨어진 2갱도로 현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일단 수직으로 내려간 건 성공했습니다. <br><br>이제 직선거리로 130미터 길이의 수평갱도를 이동해야 하는데 초반 30미터 구간에 폐석들이 쌓여있어 이를 처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느데 마지막 6미터 정도가 남았습니다.<br> <br>소방당국은 지하에 여러 통로가 있고, 사고지점이 수평 갱도로 물과 공기도 충분해 생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매몰자 중 한 명이 이 곳에서 오래 근무한 숙련공인 만큼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을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광산은 지난 8월에도 갱도 사고로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8월에는 이 입구에서 왼쪽에 있는 갱도가 무너졌고, 이번에는 오른쪽에 있는 갱도에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구조 작업이 완료되면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조사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경북 봉화 사고 현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장명석 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