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중심부에서 규모 4.1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한반도가 더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. 전문가들은 규모 4.0 이상의 강력한 지진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며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30일 기상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27분쯤 충북 괴산군 북동쪽 11㎞(장연면 조곡리) 지역에서 규모 4.1이 지진이 난 이후 현재까지 총 16번의 여진이 발생했다. 29일에 15건의 여진이 있었고, 30일 오전 4시에도 규모 1.2의 여진이 확인됐다. <br /> <br /> 기상청은 이번 지진의 규모가 올해 발생한 지진 중에 가장 규모가 큰 4.1인 만큼 한동안 여진이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. 김명수 기상청 지진화산기술팀 분석관은 “지진이 발생하는 간격은 점점 넓어지겠지만, 규모 2~3의 여진이 추가로 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현재까지 피해 신고는 지붕파손·벽체균열 등 시설 피해가 12건, 유감 신고 93건, 낙석 신고 1건 등이다. 환경부는 진앙지 반경 50㎞ 이내 시설물 38개소를 점검한 결과 피해 상황이 없다고 확인했다. <br /> <br /> 이번 지진은 기상청이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로 38번째로 강력한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됐다. 하지만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따지면 지금까지 발생한 14개 지진(규모 4.0 이상) 가운데 12번째로 강하다. 특히 큰 피해를 남긴 2016년 경주 지진(규모 5.8)과 2017년 포항 지진(규모 5.4) 이후 5년 만에 내륙, 그것도 한국 중심부에서 규모 4.0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한반도가 더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온다.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1346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