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 붕괴 사고로 노동자 두 명이 고립된 지 나흘째가 됐지만, 구조 소식은 아직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대 투입을 위한 진입로를 뚫는 작업이 예상보다 오래 걸리고 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구조 작업 진척 상황은 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나흘 전 작업 조장 박 모 씨 등 두 명이 고립된 지점은 광산 제1 수직 갱도 지하 190m 지점입니다. <br /> <br />토사가 쏟아져 구조대가 들어가기 불가능해지자, 옆에 폐쇄돼 있던 제2 수직 갱도를 통해 진입로를 다시 뚫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일단 수직으로 140m 지점까지 내려간 뒤, 실종자들이 고립된 곳으로 수평 접근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 작업 소요 시간이 길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 당국은 오늘 오전 브리핑에서 45m에 이르는 '고난도 구간'에 진입로를 뚫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어제 오후 5시쯤 작업을 마치려고 했지만, 훨씬 오래 걸린 건데요. <br /> <br />당국은 해당 구간에 큰 암석이 많았던 데다 강도까지 높아서 파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실종자들이 있을 거로 보이는 곳에 연결된 100m 길이의 2차 구간에 들어가기 위한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이 작업은 오늘 오후 6시쯤 마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당국은 2차 구간엔 암석보다 부수기 쉬운 연약한 돌들이 있다며, 진입로 작업이 갈수록 빨라질 거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종자들 생존 여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당국은 실종자들이 있을 거로 추정되는 공간이 가로·세로로 각각 4.5m쯤으로 넓은 데다, 수평 공간이어서 산소도 있고 지하수도 흐르는 만큼 생존해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갱도 진입로는 광산구조대 4개 조 28명이 6시간마다 교대하며 뚫는 중입니다. <br /> <br />추가 소식 들어오는 대로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회1부에서 YTN 임성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성호 (seongh1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2914590710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